Study + Daily = Steadily 자세히보기
반응형

Development/Java 2

TDD 방법론

TDD(Test Driven Development)란?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써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여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방식 Red :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 Green :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위한 코드 작성 Yellow : 중복 코드 제거, 일반화 등의 리팩토링 Test Driven Development 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테스트가 개발을 주도한다. 즉, 코드를 만들고 코드를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그것을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는 것. https://en.wikipedia.org/wiki/Test-driven_developmen..

Development/Java 2022.02.10

Workflows of Refactoring

Workflows of Refactoring 요즘 리팩토링을 진행하면서 불현듯 든 생각이, 과연 지금이 리팩토링을 해야하는 시점인가? 명확한 시점에 필요에 의해 리팩토링을 진행하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어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너무 좋은 발표자료를 보게 되어 이를 정리하고 공유하고자 포스트를 남긴다. 결론적으로 리팩토링을 해야하는 시점은 맞았지만, 좋은 방법으로 리팩토링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1. TDD Refactoring TDD의 Refactor 단계에서 행하는 리팩토링을 말한다. TDD를 모른다면 TDD 방법론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을 해놨으니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곳에서 말하는 리팩토링은 기능 단위의 아주 작은 코드 정리를 말한다 마틴 파울러는 TDD에서 Green단계와 Ref..

Development/Java 2022.02.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