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 Daily = Steadily 자세히보기

Development/Android

Android 배포자동화(fastlane + github actions) - Part.2

레카아범 2022. 4. 5. 00:29
반응형

< Prev          Next >

 

Android 배포자동화(fastlane + github actions) - Part.1

어느덧 이직한지도 약 3주가되고, 새로운 프로젝트 준비기간에 돌입했다.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기능제품)를 정의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기획 등을 논의하는 와중에 나는 MVP를 통해 어떤

repository-of-bracket.tistory.com

 

3. App Distribution 등록

QA 배포를 위해 App Distribution 등록합니다. (Firebase에서 제공하는 App Distribution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해 차후 문서를 작성하도록하겠다)

우선 파이어베이스 콘솔로 이동하여 프로젝트를 추가하여 줍니다.

 

프로젝트가 추가 되었다면 App Distribution에 해당 프로젝트를 등록한다.

이후 fastlane 플러그인에서 사용할 인증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데 해당 포스트는 Firebase 문서 두번째에 나와있는 서비스 계정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을 할 것이다.

 

4. 서비스 계정 등록

우선 구글 클라우드 콘솔로 접속하여 상단 메뉴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좌측 메뉴에서 IAM 및 관리자를 선택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 진입하게 된다.

서비스 계정 - 서비스 계정 만들기를 클릭.

서비스 계정을 생성한다. 계정 이름은 어떻게 지어도 좋지만 계정이 늘어나게 될 수 있으므로 알아보기 쉽게 작성해줍니다. 

엑세스 권한은 Firebase 제품 - Firebase 앱 배포 관리자를 선택한다.

 

계정이 생성된 후 해당 계정을 클릭하여 들어간 뒤, 키 메뉴를 선택한다.

키 추가 - 새 키 만들기를 선택.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비공개 키(json 파일)가 다운로드 된다.

 

생각보다 스크린 샷이 많고 중간에 작성한 글을 날려 먹기도 해서 포스팅하는데 무려 3시간이나 걸려버렸다.. 

다음 파트에서 fastlane을 통해 app distribution에 빌드된 파일을 배포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Prev          Next >

 

반응형